기존의 함수는 function 키워드 뒤 함수의 이름을 써주고
중괄호로 둘러싼 코드 블록을 만들어주면 된다.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화살표 함수
ES6에 도입된 화살표 함수는 기존의 함수 function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화살표 함수는 function 선언 대신 => 화살표를 써주면 된다.
함수 몸체의 코드가 한 줄인 경우에는 중괄호가 생략 가능하지만, 여러 개의 문장이라면
중괄호와 return을 반드시 넣어야 한다.
아래 4개의 add 함수는 모두 같은 기능을 하는 화살표 함수이다.
반환값을 보기 좋게 소괄호로 감싸줄 수도 있다.
const add = (x, y) => {
return x + y;
};
const add = (x, y) => return x + y;
const add = (x, y) => x + y;
const add = (x, y) => (x + y);
매개변수가 하나라면 소괄호로 감싸주지 않아도 된다.
const not = x => !x;
무명 함수
무명 함수는 람다식이라고도 한다.
위의 함수를 아래처럼 무명 함수로 바꿀 수 있다.
function hello() {
alert('hello');
}
let greetHello = funtion()
{
alert('hello');
};
greetHello();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객체처럼 취급이 되기 때문에 변수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 할 때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무명 함수는 함수를 한 번만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